저녁의 꼴라쥬

문법 규정에 대해, 비트겐슈타인 227p, <언어 게임> 본문

오랑쥬 껍질 씹기

문법 규정에 대해, 비트겐슈타인 227p, <언어 게임>

jo_nghyuk 2011. 7. 11. 20:37
<철학 논평>에서 비트겐슈타인은 문법 규정들은 언어로 표현될 수 있는 것을 기술함으로써 정당화될 수 없다고 말했다. 예를 들어, 색깔이 어떤 속성들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색깔언어는 어떤 규정들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고 말할 수 없다는 것이다. 색깔의 속성에 대한 기술은 그 자체가 문법 규정들을 사용해야 할 것이고 따라서 그것들을 정당화하지 못할 것이기 때문이다. 혹, 만약 그것이 문법 규정들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그것은 한마디의 헛소리이거나, 아니면 그 규정들이 피상적임을 보여줄 것이다. (<철학 논평> 53,55) 

그러나 단어를 위한 우리의 규칙들이 올바른 것인지 아닌지는 사실상 논할 수 없다. 예를 들면, '아니다'에 대한 우리의 규칙들이 올바른 것인가 아닌가, 또 그 단어의 의미와 일치하는가라는 질문은 있을 수 없다. 왜냐하면 규칙이 없으면 단어는 의미가 없으며, 만약 우리가 규칙을 바꾸면 그 단어는 다른 의미를 갖거나, 아니면 아무런 의미도 갖지 못하기 때문이다 (<철학 문법> 184; <철학적 탐구> 147). 문법 규칙들이 임의적이라고 주장하기를 원하는 것은 이런 유혹을 거스르는 것이다. 이러나 이것 역시 완전히 옳지는 않다. '왜 나는 요리 규칙은 임의적이라고 부르지 않는데, 문법 규칙은 임의적이라고 부르고 싶은 유혹을 받는가?'라고 비트겐슈타인은 묻는다.

'요리'는 그 목적에 의해서 정의되지만 '말하기'는 그렇지 않기 때문이다. 그것이 언어의 사용은, 요리와 세척이 그렇지 않은 그 어떤 의미에서, 자율적인 이유이다. 당신이 요리 중에 올바른 규칙이 아닌 다른 규칙들의 인도를 받는다면, 당신은 요리를 형편없이 한다. 그러나 당신이 체스 규칙이 아닌 다른 규칙들을 따른다면, 당신은 다른 게임을 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당신이 이러저러한 규칙이 아닌 다른 문법 규칙들을 따른다면, 그것은 당신이 틀린 어떤 것을 말한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고, 당신이 다른 어떤 것을 말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철학 문법> 184; <쪽지> 320)

 언어는 특수한 목적을 위한 도구로서 발명될 수 있는데 이럴 경우, 우리가 미터 체계를 사용하는가, 아니면 피트와 인치의 체계를 사용하는가가 어떤 측량의 목적에 중요한 것처럼, 우리가 어떤 개념을 사용하는가는 중요할 것이다. 그러나 언어는 총괄적으로 언어 밖의 상술 가능한 특별한 목적을 위한 도구가 아니며, 언어의 규칙이 임의적이라는 것은 이런 의미에서이다.
'게임의 규칙이 임의적이라고 말하는 것은 게임이라는 개념은 게임이 우리에게 미치게 될 영향에 의해서 정의되지 않는다고 말하는 것이다' (<철학 문법> 192). '문법의 목적은 단지 언어의 목적에 불과하다는 뜻으로 하는 말이라면, 문법 규칙은 "임의적"이라고 말할 수 있다' (<철학적 탐구> 제 1부, 497)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