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_ (528)
저녁의 꼴라쥬
10월 7일 금 새벽기도회 찬송 545 통 344 이 눈에 아무 증거 아니 뵈어도 말씀 고린도전서 16장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너희 무리와 함께 성도로서 어쩌면 가장 철저하게 지키기 힘들어하는 것 중의 하나는 헌금일 것입니다. 반대로 말하면, 헌금을 하는 행위야말로 우리가 하나님에게 표현할 수 있는 최상의 표현 중의 하나입니다. 가장 아끼는 것을 주님께 드리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헌금은 또한, 교회를 통해 우리 모두가 재정을 나누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바울이 고린도교회에게 명하는 헌금은 예루살렘의 가난한 교회를 위한 것입니다. 고린도 교회와 예루살렘은 헌금으로 연결되어집니다. 무슨 말이냐면, 복음이라고 하는 영적 축복을 받은 이방인인 고린도 교인들이, 그 영적인 근원이라 할 수 있는 이스라엘의 교회..
10월 6일 목 새벽기도회 찬송 350 통 393 우리들이 싸울 것은 말씀: 고린도전서 15장 너희 수고가 헛되지 않도다 바울은 자신이 고린도교인에게 전한 복음을 다시 상기시킵니다. 예수께서 우리 죄를 위해 죽으시고 장사 지낸 바 되었다가 다시 살아나셨다. 예수께서 죽으신 것도 성경에 쓰여진 대로 이루어진 일인 것처럼, 예수께서 다시 사신 것도 성경에 쓰여진 대로이다. 부활하신 예수님께서는 먼저 베드로와 열두 제자에게 보이시고 가장 마지막으로 바울에게 나타나셨습니다. 제가 기도회에서 성경공부를 인도할 때에 이 15장을 가지고 했는데, 질문 하나를 했습니다. 바울은 왜 자기를 만삭되지 못하여 난 자와 같다고 표현했을까요? 그러자 어떤 형제가 이렇게 대답했습니다. 다른 사람에게는 육체를 가지고 나타나셨는데,..
10월 5일 수 새벽기도회 찬송: 211 통 346 값비싼 향유를 주께 드린 말씀: 고린도전서 14장 모든 것을 덕을 세우기 위하여 하라 고린도전서 13장의 1-3절에서는 방언과 천사의 소리를 말할지라도 사랑이 없으면 울리는 꽹과리와 같다고 바울이 말했습니다. 그러한 언급을 한 이유가 이제 14장에서 드러납니다. 당시의 고린도 교회에서는 교회 가운데에서 방언으로 기도할 뿐 아니라 전체의 모임에서도 방언으로 계속 말하는 사람들이 있었습니다. 바울은 그래서 어제 13장에서 했던 표현과 비슷한 표현을 다시 쓰는데, 14장 7절을 보면, 피리나 거문고가 소리를 낼 때에 그 음의 분별을 나타내지 않으면 그 소리가 피리인지 거문고인지 어떻게 알겠느냐고 반문합니다. 8절에서는 전쟁 나팔 비유를 듭니다. 나팔이 분명한..
10월 4일 새벽기도회 찬송: 503장 통 373 세상 모두 사랑 없어 말씀: 고린도전서 13장 지식은 부분적으로, 사랑은 완전하게 바울은 고린도전서 13장에서 사랑이 모든 것의 시작이 되고, 구심점이 되며, 마침이 된다고 말합니다. 1-3절은 “사랑이 없으면” 그 어떤 훌륭한 일, 선한 일을 하더라도 아무 유익이 없다고 주장합니다. 고린도 교인들이 흠모해 마지않았던 천사의 언어인 방언의 은사도 사랑이 없이 하면 시끄러운 꽹과리 소리가 될 뿐이며, 사람들이 우러러보는 은사인 예언과 지식도, 심지어 산을 옮기는 믿음도 사랑이 없으면 아무 것도 아니라고 합니다. 이 말은 다시 말해서, 좋은 믿음도 사랑이 없는 믿음은 소용이 없다는 것입니다. 그럼 도대체 여기서 말하는 사랑은 무엇이길래, 사랑 없이는 은사도 ..
9월 20일 화 저녁기도회 찬송: 563장 통 411 예수 사랑하심을 말씀: 고린도전서 12:1-31 더욱 큰 은사는 무엇입니까? 고린도교회 성도들은 방언을 말하는 은사에 대해서 선망을 지니고 있었습니다. 당시의 사회는 현대의 사회와 달리, 높은 지성이 인문과학적, 자연과학적 지식 뿐 아니라 영적인 지식을 포함하는 것으로 생각하였습니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는 교회 안에도 있었습니다. 그러므로 지성인일수록 신비하게 여겨지는 방언 은사를 가지고 있는 것이 참된 진리에 더 가깝다고 사람들은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교회에서 방언과 예언 기도를 하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들 사이에, 또 서로 예언 기도를 하는 사람들 사이에 분쟁이 생겨버렸습니다. 바울이 말하듯이 지식은 쌓일수록 사람을 교만하게 만들기 때문입니다..

나는 같은 스니커즈를 산다. 십여년 전 스헤브닝언에서 찍은 사진 속에도 동일한 스니커즈가 피사체로 담겨져 있다. 매번 같은 운동화를 산다고 해도 그것이 새 운동화라는 점에서 나는 매번 다른 운동화를 사는 것이다. 나는 오늘을 살지만 같은 오늘을 살지 않고 새로운 현재라는 점에서 매번 다른 오늘을 살고, 그 다른 오늘들이 나의 인생을 구성할 것이다. 새로움과 반복이 서로 얽혀서 삶의 리듬을 구성한다. 다름 가운데에서도 동일성을 유지하는 무언가는 무엇인가. 그것은 어제도, 오늘도 그리고 내일도 동일하다는 신실함이다. 아무리 힘겨워도 자전거 페달을 돌리는 것만은 멈추지 말라고, 아버지가 생전에 말씀하셨다. 시간은 그냥 흐르지 않는다. 그냥 흐르는 시간은 내 뒤로 지나가 산란되어질 뿐이다. 시간을 구성하는 것은..

북해에 다녀왔다. 바다 앞에 서면 사람의 마음이 회복이 된다는 연구결과를 보고 난 후에 점점 바다를 보아야겠다는 생각이 강해졌다. 북해의 분위기는 대체로 비슷하다. 네덜란드, 프랑스, 벨기에의 북해처럼 독일의 북해도 망망하게 푸른 바다가 지닌 결연함 같은 분위기가 있다. 항구로 들어오는 덴마크 배를 보면서 두시간 거리에 있는 건너편 땅을 상상해본다. 해변은 땅이 끝나는 곳이지만 동시에 생명의 원천이 시작되는 곳이기도 하다. 그렇게 바다에 발을 담그고 나의 작음과 창조주의 크심에 대해 묵상해보았다. 매순간 부지런하게 몰려오는 파도가 해변을 늘 새롭게 갈아엎는다. 모래는 매번 부드럽게 깔리는 융단 같아졌고, 나는 그 길 위를 하염없이 걷는다. 사람들도 모두 바다가 만든 부드러운 길 위로 걷고 있다. 어느순간..
8월 19일 금 새벽기도회 찬송: 620 여기에 모인 우리 말씀: 고린도전서 11장 기다림으로 하나되는 주의 몸 오늘 우리가 보게 될 11장은 두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하나는 남자와 여자의 교회에서의 행실에 대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우리가 현대 교회에서 시행하는 성만찬의 원형이 되는 주의 만찬이라고 하는 식사에서의 문제에 대한 것입니다. 3절을 보면 각 남자의 머리는 그리스도요 여자의 머리는 남자요 그리스도의 머리는 하나님이시라는 말씀이 있습니다. 여기서 머리라고 하는 말은 근원이라는 뜻을 또한 상징합니다. 이는 아담의 뼈를 통해 하와를 만드신 하나님의 창조 사역을 떠올리게 합니다. 바울은 그래서 그리스도가 하나님에게서 났듯이 여성은 남성에게서 났다고 말합니다. 그러나 동시에 바울은 11절에서 주..
8월 18일 목 새벽기도회 찬송 347 통 382 허락하신 새 땅에 말씀: 고린도전서 10 거치는 돌이 아니라 구원의 반석으로 출애굽 사건 때 이스라엘 백성은 홍해를 건너면서 다 함께 그 바다를 지나며 세례를 받았습니다. 홍해가 갈라지고 그 사이로 지난 것은 사실상 이스라엘의 목숨이 하나님께 속해 있음을 말합니다. 뒤에는 애굽의 군대가 있었고 이스라엘은 바다에 빠지거나 군대에 죽임을 당하거나 할 형편이었지만 하나님께서 홍해를 갈라서 이스라엘 백성의 목숨을 살려 주셨습니다. 그래서 홍해 사건은 세례로 묘사됩니다. 갈라진 바다 사이를 지나는 것은 물 속에 잠겨 있는 것이고 동시에 하나님께서 물로부터 건져주신 권능의 사건이기 때문입니다. 이스라엘 백성은 다 함께 세례를 받았고, 다 함께 하나님이 주시는 반석에..
8월 17일 수 새벽기도회 찬송: 354 통 394 주를 앙모하는 자 말씀: 고린도전서 9장 복음을 위해 참는 자들 바울은 8장에서 고기를 먹는 권리 포기에 대해 이야기한 후에, 이제 사도로서 자신이 행한 권리 포기에 대해 9장에서 말합니다. 권리 포기의 전제는 먼저 그 사람이 어떤 것에 대한 권리를 가진다 입니다. 그래서 바울은 1-2절에서 "나는 자유인이고 사도로서 권위가 있는 사람이다"는 것을 먼저 말한 후에, 자신이 먹고 마실 권리가 있으며, 결혼을 할 권리도 있고, 따로 생활을 위해 일하는 것이 아니라 사례를 받아 일할 권리가 있음에 대해 말합니다. 바울은 이 모든 권리를 누리지 않고 있습니다. 실제로 바울은 천막을 짓는 일을 부업으로 하여 생계를 꾸려가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바울은 사역자가 스..